반응형
현대 포터 2 vs 기아 봉고 3
우리나라에서 최대 적재중량 1000kg (1톤) 이하 소형 트럭시장에서 선택지는 2개뿐이다.
1. 현대 포터 2
2. 기아 봉고 3
포터와 봉고는 모양만 다른 똑같은 차라고 볼 수 있다.
같은 엔진에 차량 스펙도 동일하다.
포터 2 엔진 스팩 봉고 3 | ||
D4CB | 엔진형식 | D4CB |
2,497 | 배기량(cc) | 2,497 |
133 | 최고출력(PS) | 133 |
26.5 | 최대초크(kg·m) | 26.5 |
제원에 있어서 거의 차이가 없다.
포터 2 제원 봉고 3 | ||
1,970 | 전고(mm) | 1,995 |
1,740 | 전폭(mm) | 1,740 |
5,155 | 전장(mm) | 5,160 |
2,860 | 적재함(mm) | 2,860 |
※ 초장축 슈퍼캡 / 킹캡 기준
포터 2 캐빈 명칭 봉고3 | ||
일반캡 | ![]() |
표준캡 |
슈퍼캡 | ![]() |
킹 캡 |
더블캡 | ![]() |
더블캡 |
정비소 입고시 현대 포터 2 차량과 기아 봉고 3 똑같은 부품으로 수리하게 된다.
포터와 봉고의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전면부의 디자인, 테일램프 디자인과 차량 내부의 디자인이다.
포터는 푸른색을 띠고 봉고 같은 경우에는 붉은색을 띠고 있다는 점이다.
중고차 시장에서는 포터가 봉고보다 조금 더 비싸게 팔리는 경향이 있다.
포터에게는 없고 봉고에게만 있는 것이 있다.
바로 1.2톤 차량이다.
1톤과의 차이점은 적재 가능 무게 증가와 늘어난 30cm 늘어난 적재함 길이!
1톤 = 소형 화물차
1.2톤 = 중형 화물차
한 달 유가 보조금도 다르게 지급된다.
1톤 / 683L / 23만원
1.2톤 / 1,013L / 35만원
짐을 실을 때 1톤 같은 경우 파렛트 2개까지 실리지만
1.2톤 같은 경우 3개까지 적재 가능하다.
하지만 단점도 있다
1.2톤 봉고 같은 경우는 자동변속기 모델이 없다는 점이다.
자동차 안전검사 시행 횟수
1톤은 1년에 한 번 1.2톤은 1년에 두 번 해야 한다.
반응형
'내가 궁금한 것들 > 자동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종보통면허 + 7년 무사고 = 1종보통으로 갱신?? (0) | 2021.08.24 |
---|---|
2종 보통면허로 운전가능 차량 정리 / 2종 보통(수동/오토)정리 (4) | 2021.08.17 |
화물차 유가보조금 받는 방법알아보자 (0) | 2021.08.06 |
자동차 번호판의 색깔과 숨겨진 의미를 알아보자 (0) | 2021.07.21 |
1종 보통면허로 지게차 운전 가능할까?? 1종 보통 운전가능차량 (1) | 2021.07.16 |